skip to Main Content
holinesscode@me.com

메르넵타 비문

람세스 2세(1279–1213 BCE)의 열세번째 아들이 메르넵타가 파라오가 되었습니다 (1213-1203 BCE). 람세스 2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에서 탈출할 때, 큰 아들을 잃었던 바로 그 파라오입니다. 강력한 군주였던 파라오 람세스 2세가 죽고, 메르넵타가 파라오가 된지 5년째 되던 해(1209 BCE)에 북아프리카의 리비아 사람들이 이주해…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12/23

게젤 달력 Gezer Calendar

절벽의 벼랑, 현무암에 잘 다듬어진 비석, 토기, 토판 등 어디에 기록이 되었든 고대 기록물의 기록자를 알아내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이것은 내가 썼습니다.”라고 드러내 놓고 기록한 경우가 매우 드물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고고학자들은 글자를 판독할 수는 있지만, 그 글자를 기록한 사람을 알아낼…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11/30

메사 석비

고고학은 과거의 이야기를 역사로 바꾸어 놓는 신비한 힘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두가 이런 신비한 힘을 존중하는 것은 아닙니다. 고고학자들, 그리고 성서학자들에게는 땅 속에서 나온 유물들이 가치를 매길 수 없으리 만큼 가슴벅찬 숨쉬는 생명체이며, 인류가 함께 소유해야만하는 선물이지만, 누군가에게는 그저 경제적인 가치로만…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10/19

에누마 엘리쉬 (바벨론의 창세기)

“바벨론의 창세기”라고 불리는 에누마 엘리쉬는 영어로 번역하자면, When Above 라는 뜻입니다. 천지가 창조되기 이전에 신들의 세계에서 벌어진 싸움과 그 싸움의 결과로 생겨난 천지와 인간에 대한 이야기이지요. 원래 이 에누마 엘리쉬의 기록 목적은 Marduk을 찬양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리고 이 이야기 안에는…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09/05

메짜드 하샤브야후 – 안식일

안식일은 하나님을 위한 날이면서, 동시에 인간, 그리고 모든 숨쉬는 생명체를 위한 쉼의 날입니다 (출 20:8-10; 23:12). 하나님은 여섯째 날에 인간을 만드셨습니다. 그리고 그 인간에게 처음 주신 것은 ‘일’이 아니라, ‘쉼’, 곧 안식이었습니다 (창 2:1-3). 쉼은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인간이 지켜야하는…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08/29

파피루스 암헤르스트 63 (시편 20편)

지금으로부터 130여년 전에 네덜란드 사람 암헤르스트가 파피루스 (Papyrus) 몇개를 골동품 수집용으로 사들였습니다. 민중 이집트어체로 쓰여진 이 파피루스 조각을 어떻게 읽는 줄도 몰랐습니다. 학자들도 이집트 사람들이 사용하던 민중 언어 체계를 당시까지 이해하지 못했던 때입니다. 그러다가 구입한지 몇 년 뒤, 암헤르스트가 죽고…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07/28

문서설에 근거한 노아의 홍수 본문 구분

문서설의 입장에서 본 노아의 홍수이야기는 J의 홍수 이야기와 P의 홍수 이야기가 서로 합쳐진 것입니다. 서로 독립적으로 (구전과 글로) 전해져 내려온 두 개의 홍수 이야기들이 후대 “창세기(베레쉬트)”라는 두루마리로 기록될 시기에 하나로 합쳐졌는데, 이렇게 합쳐진 두 개의 이야기(전통)을 다시 구분해서 각각의 이야기의…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06/13

길가메쉬 토판내용 정리

길가메쉬의 토판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6월1일 00:30에 팟캐스트 11화 “길가메쉬 특집”이 올라갈텐데요. 이 토판 정리를 함께 보시면 내용을 이해하시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될 듯합니다.  길가메쉬 토판 내용 정리 E-Book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05/30

창세기 5장의 족보 정리

창세기 5장을 설명하는 팟캐스트 비블리아 10화 방송을 청취하시면서, 족보를 한 눈에 보실 수 있도록 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표와 함께 방송을 들으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창세기 5장의 족보 E-Book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05/22

레위인들의 성읍과 도피성

여호수아 21장에서는 레위인들의 성읍 48개와 그 중에서 도피성으로 지정된 6개의 도시 명단이 나옵니다. 그러나 실제로 세어 보면, 47개입니다. “가드 림몬”이라는 도시가 두번 나오기 때문입니다. 가드 림몬은 단지파와 므낫세 지파의 경계가 되는 도시인지라, 때로는 므낫세의 도시로, 때로는 단의 도시로 등장한 결과…

새소식 학술자료 요약정리 holinesscode 2018/04/21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