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holinesscode@me.com
신명기역사가들에 대한 약어 정리

신명기역사가들에 대한 약어 정리

신명기로 논문을 쓰려는 학교 후배로 부터 메시지가 왔습니다. 그러고보니, 학교에서 이 부분에 대해서 저도 제대로 배워본 적이 없는 것같더라구요. 그래서 도움을 주고 간단하게 신명기 역사가들에 대한 약어를 정리해서 올립니다.

“신명기”를 학교에서 배우지만, 신명기에 대한 약어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있는 학생들도 많지 않고, 신명기의 연구 역사에 대해서 차근차근 가르쳐주시는 교수님도 많지는 않은 것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신명기 책의 “신명기 본문”을 말할 때에는 D라고 합니다. Deuteronomy의 약자이지요. 그 다음 부터는 신명기의 형성 역사에 대한 학파와 학자에 따라서 붙여놓은 약어들이 다 다릅니다. 누구는 Dtr, 누구는 Dt. 누구는 누구는 Rd, 누구는 DtrG…. 복잡하고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래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책을 읽으면서 “아, 이것은 이 때에 기록/수집/편집된 것으로 이야기하는 구나~”하고 이해하시기 쉬우시라고 간단하게 분류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냥 학자의 이름들이 영어이고, 표기법도 영어이니, 저도 그냥 영어로 정리했습니다만, 워낙에 간단하기 때문에 보시는데 전혀 문제가 없을 겁니다.

HistoriesD

분류표를 보는 방식은 매우 간단합니다. 프리드만은 622-597BCE 사이에 편집(수집 또는 기록)된 신명기의 본문들을 Dtr1이라고 부르고, 아이스펠트는 그 부분을 Dt라고 부르고, 벤찡거는 R1이라고 부른다는 겁니다. 그리고 학생들이 페이퍼를 쓰면서 반드시 기억해야하는 것은, 내가 Dtr1이라는 표현을 썼으면 일목요연하게 프리드만의 견해를 따라서 프리드만의 분류방식으로 페이퍼를 써나가야지, “Dtr1의 본문에서는…. 한편으로 Dt2에서는…” 이런 식으로 쓴다거나, “Dtr2에서는…. 그런데, DtrN의 입장에서 종합적으로 보자면…” 이런 식으로 페이퍼를 쓰면, 그 페이퍼를 읽는 교수님들은 “이 친구는 전혀 신명기에 대해서 알지 못하는군…”하고 평가를 한다는 겁니다.

 

Histories of Deuteronomistic Literature E-Book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