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holinesscode@me.com
주일과 안식일 (예루살렘)

주일과 안식일 (예루살렘)

* 이 글은 기독교세계에 지금으로부터 거의 10년 전에 기고했던 글입니다.  기고할 당시의 글의 타이틀은 “이스라엘 서신”이었습니다. 저의 형에게 편지 형식으로 쓴 글인데요. 그래서 중간 중간 “형”이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이런 배경에 대해서 이해하시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맞습니다. 형 말씀대로 하나님께서 제 아내를 통해서 저의 지나치게 비판 일색의 건조한 마음을 지적해 주셨던 것 같습니다. 형도 꽤나 조마조마 하셨지요? 이제는 아내에게 검열 받는 것이 즐겁습니다.

형도 아시다시피, 제가 그리 보수적이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보수적이냐, 개방적이냐는 극단적인 기준을 놓고 본다면, 개방적인 것에 더 가깝다는 것은 형이 더 잘 아시지요? 보수적인 것이 뭐고, 개방적인 것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는 딱히 내 놓을 답은 없지만, 문자적인 원칙보다는 상황적인 변화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측면에서 제가 개방적이라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그런데 슬슬 저도 보수적이 되어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원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다는 거지요.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욱 보수적으로 되어간다는 것을 저도 모르게 제 아내를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제가 공부하는 영역이 제사장들의 신학이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제사장들의 신학은 원리 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철저하게 율법에 기초한 생활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입니다.

Shabbath01

유대인들은 토요일을 ‘샤밧’ שבת 이라고 하여서 안식일로 삼습니다. 회당에서 예배를 드리고, 그 날을 거룩한 날로 지킵니다. 그리고 기독교인들은 일요일을 ‘주일’ 로 삼아서 유대인의 안식일과 마찬가지로 거룩히 지키지요. 정확하게 언제부터 주일이 기독교인들의 “안식일”이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신약을 전공하시고, 이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신 목사님께서 잘 설명해 주시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주일학교 때부터, 그리고 예배시간의 설교를 통해서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예수님이 부활하신 그 아침을 기억하면서 일요일이 기독교인들의 “안식일”이 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것이 토요일이든(유대인처럼), 일요일이든(기독교인들처럼) 어느 날이든, 그것이 뭐 그리 중요하겠습니까? 중요한 것은 일주일의 한날을 거룩한 날로 지키며 하나님께 감사하며 예배드리고, 쉼을 얻는 것이 중요한 것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저녁에 출산을 한 달 앞두고 배가 제법 나온 아내와 함께 산책을 하던 중에, 아내가 제게 물었습니다. 나중에 목회를 하게 되었을 때에, 주5일제가 되면서 가족단위의 여행이 많아지는 요즘 같은 추세이면 앞으로 예배를 금요일 저녁때나 토요일에 드리자는 의견이 나올 수 있을 텐데 주말을 즐기기 원하는 교인들을 위해서 금요일 저녁이나 토요일에 예배를 드리겠느냐고요. 몇 년 전에 만약에 그러한 질문을 받았다면, “당연하지.”라고 대답했을 겁니다. 그러나 지금은 “절대로 그렇게 하지 않겠다.”입니다. 이게 제가 보수적이 되었다는 증거인가요? 어째 제 아내는 잘 이해하지 못하는 듯했습니다. 주5일제 근무에 많은 사람들이 긴 공휴일을 얻게 되는 데에 제가 그런 교인들에게 방해가 되는 사람이 되어버린 느낌입니다.

Shabbath02

유대인들은 안식일을 매우 철저하게 지킵니다. 그래서 종종 안식일에 통곡의 벽을 순례하는 순례자들은 통곡의 벽 앞에서 사진을 찍으려다가 유대인 경찰들이나, 종교인들로부터 강력한 제제를 받기도 하지요. 왜냐하면 사진을 찍는 것은 ‘일’이기에 안식일에 아무 일도 하지 말라(레 23:3)는 하나님의 율법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율법에서 말하는, 그리고 유대인들이 말하는 ‘일’의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그 기준이 무엇인지 알려고 하기보다는 유대인들에게 물어보는 편이 더 편하기 때문입니다. 정말 엄청나게 복잡하고, 세분화 되어 있기 때문에 몸에 저절로 배어있지 않은 한 외워서 기억하기란 그리 쉽지 않으니 말입니다. 어쨌든 그렇게 유대인들로부터 제제를 받고 나면, 모두 “역시 유대인들은 율법적이야.”, “율법주의에 빠져 살고 있어.”라고 한마디씩들 합니다. 이제는 저도 몸에 배어서 당연히 안식일에 종교인들이 모여 사는 유대인 거주 지역에서는 사진을 찍으면 안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처음에 저도 유대인들의 율법에 얽매여 사는 생활에 대해서 그리 좋게 이야기하지는 않았습니다.

주일과 안식일의 다른 점을 꼽아보라면, 이것저것 꼽을 것이 참 많습니다. 그런데 주일과 안식일의 같은 점을 꼽아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저는 거리낌 없이 안식일이든, 주일이든 “거룩한 날”이라는 것을 같은 점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러면 “거룩하다”라는 말의 뜻은 무엇일까요? 좀 난해하고, 복잡해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학문적인 근거는 어차피 관심 밖이니 다 빼놓고 간단하게 “거룩하다”라는 말의 성서적인 의미를 풀어보자면, 레위기에서는 “하나님을 위해서 따로 구별시켜 놓는다.”는 의미로 해석을 합니다. 거룩한 사람인 제사장은 하나님을 위해서 따로 구별된 사람이고, 거룩한 성전과 성소는 하나님을 위해서 따로 구별된 장소이며, 거룩한 날인 안식일과 절기들은 하나님을 위해서 따로 구별시켜 놓은 시간이 되는 것이지요. 이것이 레위기가 말하는 거룩한 사람, 공간, 그리고 시간입니다. 이렇게 안식일은 하나님을 위해서 따로 구별시켜 놓은 날이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위해서 구별시켜 놓은 이 날에 하나님을 위한 일이 아닌, 나를 위한 일을 하는 것은 그 거룩함을 훼손시키는 것이지요. 그래서 유대인들은 안식일에 “일”을 하지 않는 겁니다.

Shabbath03

정통파 종교인들이 대거로 살고 있는 예루살렘의 안식일은 정말 볼만합니다. 거리에는 다니는 차들의 수가 확 줄어버립니다. 아랍사람들은 금요일이 공휴일이기 때문에, 유대인의 안식일에 아랍인들은 우리나라의 월요일마냥 아이들은 학교에 가고, 사람들은 한주의 일을 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혀 차가 없지는 않지요. 그러나 대다수를 차지하는 유대인들이 안식일을 지키기 때문에 유대인들이 사는 거리는 아예 텅 빕니다. 그리고 보수적인 유대인들이 모여 사는 마을에는 아예 차들이 들어가지도 못하도록 경찰들이 마을 입구에 바리케이드를 쳐 놓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식일의 차도는 모두 인도가 되어버리지요. 자칫 경찰이 없는 새, 실수로 바리케이드를 치우고 차를 타고 그 마을로 들어간다면, 돌 맞기 십상입니다.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을 향한 응징이고, 안식일의 규례를 깨뜨리므로 자기들이 사는 마을 을 부정하게 만든 이방인들에게 내려지는 벌인 셈이지요. 이 같은 율법들이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레 23:14)라고 성서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을 율법적이라고 몰아세울 근거가 무엇이겠습니까? 성서를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도 그들을 “율법주의자”라고 몰아세울 수 없을 겁니다. 그들은 단지 성서에서 말하고 있는 대로 살고 있을 뿐이니 말입니다.

그것이 성서적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저는 오히려 안식일에 일하지 않는 유대인들의 전통이 참 좋습니다. 집 밖으로는 동네를 벗어날 수 없으니, 당연히 안식일은 하나님과 함께 쉬는 날이면서, 동시에 모든 가족이 한 지붕 아래에서 24시간을 보낼 수 있는 날이니 말입니다. 안식일이 시작할 때면 길거리에는 꽃을 파는 사람들을 참 많이 볼 수 있는데, 이것 역시 안식일이 가족 중심이기 때문에 생겨난 풍습입니다. 모든 가장은 안식일에 집으로 돌아가면서 꽃을 사서 가는 거지요. 매주 안식일의 시작에 아버지가 사 온 꽃이 가정의 식탁 가운데에 꽂혀있고, 아버지가 식탁에서 기도를 하면서 안식일 식탁이 시작되는 아름다운 광경. 낚시다 등산이다 친목회 모임이다하면서 가정을 비우고 거나하게 얼굴이 달구어져 들어와 술 냄새를 쿨쿨 피우며 잠자고 있는 아이들에게 입 맞추며 아이들을 깨우기보다는 유대인들처럼 가족과 함께 안식일을 보내면서 어머니, 아버지의 집을 찾아서 3대가 둘러앉아 온 가족이 식탁 앞에서 노래 부르는 광경. 이런 광경들을 한국에서 기대하는 것은 지나친 기대일까요?

Shabbath04

토요일 예배나 금요일 저녁의 예배. 소위 말해서 5일제 근무가 만들어낸 긴 휴일을 즐기려는 교인들을 위한 친절한 배려에는 주일이 “거룩한 하나님의 날”이라는 데에는 관심이 없는 듯합니다. 의례 주일이면 교인들은 ‘예배’를 떠올리고, 교회에서 1시간내지는 1시간 30분 정도 ‘해치워야하는 예배’라는 ‘의무’를 다하고 나면, 그 이후의 시간은 ‘내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분명히 하나님의 것인데 말입니다. 교회에서 조차도 ‘예배’ 이후의 교인들의 생활에는 큰 관심이 없는 교회들이 많은 듯합니다. 아마도 주일의 목적이 ‘예배 드림’이기 때문에, 이 예배를 금요일 저녁이나 토요일에 드림으로써 어차피 해야만 하는 일주일에 한 번 있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의무’를 미리 당겨서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예배의 모양새만 있고, 그 안에 ‘거룩한 날’이라는 원래의 의미가 사라진 그 시간이 정말 하나님을 위해서 구별한 거룩한 시간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는 상투적인 말로, “하나님만 아시겠지요.”

다시 한 번 제 아내가 제게 똑같은 질문을 해도, 저는 “절대 안 된다.”입니다. 문자적으로 성서의 말씀대로 살아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싶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거룩한 날”의 본질을 꼭 지키고 싶기 때문입니다. 그러고 보니 이거 레저산업과 관련된 형 직장의 모토와는 좀 다르지 않나 싶네요.

주일과 안식일 E-Book

This Post Has 4 Comments
  1. 저는 우리가 100%율법을 다 지키지 못하는 마당에 비중있고 중요한 것 그것이라도 지켜야한다는 생각입니다.

  2. “하지만 주일학교 때부터, 그리고 예배시간의 설교를 통해서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예수님이 부활하신 그 아침을 기억하면서 일요일이 기독교인들의 “안식일”이 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것이 토요일이든(유대인처럼), 일요일이든(기독교인들처럼) 어느 날이든, 그것이 뭐 그리 중요하겠습니까? 중요한 것은 일주일의 한날을 거룩한 날로 지키며 하나님께 감사하며 예배드리고, 쉼을 얻는 것이 중요한 것 아니겠습니까?”

    성경을 보면 항상 피조물인 인간이 조물주이신 하나님의 뜻을 따르게 되어 있읍니다.
    때로는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모를때가 많지만 어쨓든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은 참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구원의 조건으로 율법을 지키려 한다면 너무 힘들겠지요. 그것이 곧 율법주의자의 고달픈 삶이죠. 하지만 하나님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물론 하나님의 뜻을 아는 한도내에서 지키려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이 자연스러운 것을 하는 것이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도리입니다.

    많은 분들이 ‘일주일에 어느 하루를 거룩하게 지키면 되지 그날이 꼭 일곱째날, 토요일이어야 하나?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는일이 더 좋으니 주일이 더 좋다’ 고 생각하시는 듯 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자라면 그분의 뜻을 따르려, 모르던 것들도 찾아가며 지키려 하겠지요.

    성경에 주일을 거룩히 지키라는 말은 한군데에도 없읍니다. 하나님께서는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십계명중 네번째) 하셨지 일주일 중 아무날 정하여 거룩히 지키라 하시지 않았읍니다. 사도 바울도 예수님 부활 후, 20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안식일을 지키셨읍니다. 사도행전 17:2에 “바울이 자기의 관례대로 그들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라 했읍니다. 성경에는 오늘날 우리가 쓰는 의미의 주일은 한번도 없읍니다.

    저는 안식일을 나의 존중하며 사랑하는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선물로 받습니다. 이 날은 따로 성별하여 온 가족이 하나님과 지내는 특별한 날입니다.

    1. 좋은신 견해에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안식일을 꼭 “토요일”에만으로 지협적으로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히브리어 “샤밧” שבת 이라는 말은 그 말 자체로 “쉼(안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요일의 개념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창조의 과정 가운데에서 하나님께서 일곱번째 날을 쉬셨으므로, 그 일곱번째 날을 거룩하게 성별한 것입니다. 그 일곱번째 날이라는 창조때의 시간이 지금의 월요일인지, 토요일인지, 주일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습니다. 오늘날 토요일을 안식일로 삼는 것은 유대인의 전통일 뿐이랍니다.
      그러므로 중동국가에서 “금요일”에 예배를 드리는 것, 이스라엘에서 “토요일”에 예배드리는 것, 한국에서 “주일”에 예배 드리는 것. 어느 것하나 창조의 원리에서 어긋나는 것이 없으며, 성서에서 어긋나는 것이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날 하루는 온전히 하나님의 날로 구벌하는가의 문제입니다. 성경은 그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3. ㅎㅎㅎ… 잘 봤어요. 재미있네…
    즐겨찾기에 넣어 놓고 조금씩 조금씩 봐야지요.
    근데 궁금한건…. 유대인들이 자기 마을에 차가 들어오면 돌을 던진다….
    돌 던지는 건 일이 아닌가보지?
    글 잘 볼께요

Comments are closed.

Back To Top